월평균3 2023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액(1인~8인, 50%~160%까지 정리)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기준 (단위 : 원) 공급유형구 분3인 이하4인5인6인7인8인 일반공급(전용면적60㎡이하)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액의 100% 6,509,452 7,622,056 8,040,492 8,701,639 9,362,786 10,023,933 다자녀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액의 120% 7,811,342 9,146,467 9,648,590 10,441,967 11,235,343 12,028,720 노부모부양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액의 120% 7,811,342 9,146,467 9,648,590 10,441,967 11,235,343 12,028,720 생애 최초 우선공급 (70%)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액의 100% 6,509,452 7,622,056 8.. 금융 지식 2024. 1. 30. 2021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50%~160%까지 계산) 매번 헷갈려서 내가 보려고 저장합니다. 2인은 대부분이 없는 경우가 많고 퍼센트 별로 봐야 할 거 같은데 죄다 100%, 120% 등으로 만 되어있어서 이번 7.10 부동산 대책에서 적용된 맞벌이 140%는 또 계산을 해야 되는데 매번 헷갈려서 이번 기회에 저장해놓습니다. 이번에 또 160%까지 또 오른다고해서 다시 계산해놓습니다. 2023년 3월 1일 수정 2023.03.01 - [부동산] - 2022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50~160%까지 정리 2022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50~160%까지 정리 2023년이 되었다. 2022년에 청약에 당첨되면서 동시에 시장 분위기는 금리 상승으로 인해 엄청나게 얼어붙었다. 매매량이 급감하면서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금리마저 오르면서 대출을 감당하 hdru.. 부동산 2023. 3. 1. 2020년 도시 근로자 월평균 소득(50%~160%, 3인이하~8인까지) 2021년에 넣는 청약은 2020년 기준입니다. 20201년이라고 되어있는 월평균 소득은 내용이 맞지 않으니 공고문을 꼭 확인하시고 세전 소득임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2020년 도시 근로자 월평균 소득 3인 이하 4인 5인 6인 7인 8인 50% 3,030,081 3,547,103 3,547,103 3,696,824 3,889,012 4,081,200 60% 3,636,097 4,256,524 4,256,524 4,436,189 4,666,814 4,897,440 70% 4,242,113 4,965,944 4,965,944 5,175,554 5,444,617 5,713,680 80% 4,848,129 5,675,365 5,675,365 5,914,918 6,222,419 6,529,920 90% 5,4.. 부동산 2021. 10. 28. 이전 1 다음